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의장 파월
최근 기준금리를 0.75% 올리는 '자이언트스텝'을 발표하였습니다. 한 번에 0.75% 하는 것은 28년 만이라고 합니다.
기준금리의 0.5% 상승 = 빅스텝
기준금리의 0.75% 상승 = 자이언트스텝
이라고 부릅니다.
요즘 뉴스에서 빅스텝, 자이언트스텝 이야기하는 것은 기준금리의 상승을 나타내는 말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러한 발표를 한 이유는 인플레이션 위험이 그만큼 큰 상태라는 것을 대변해줍니다.
위의 그래프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입니다.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지만 미국의 기준금리와 한국의 기준금리는 어느 정도 비슷한 추이를 보이며 움직입니다.
코로나로 인하여 0.5%까지 하락했던 기준금리가 2021년 8월을 기점으로 가파르게 상승하여 2022년 6월 22일 현재 1.75%로 상승한 상태입니다.
이미지에 나온 대로 시장 영향력이 매우 높은 상태이며 기준금리의 인상 시 다른 금융권의 대출금리도 상승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주택담보대출의 금리 상승도 예상되고 이에 따라 높은 대출금리로 인하여 매수 심리가 많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부동산원의 전국 주택 가격동향조사 자료입니다.
2020년 ~ 2021년은 굉장한 상승을 보였고(0보다 큼) 추가로 변동률(막대 길이) 또한 높습니다.
그러나, 2022년부터는 막대그래프의 모습이 거의 그래프에서 보이지 않을 정도로 변동률이 작아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부터는 매수하면 오르던 과거 1~2년 전과 달리 어떤 움직임을 보일지 함부로 예측할 수 없으므로
무리한 대출을 통한 투자보다는 적정 수준의 레버리지로 제한하고, 단기 미래보다는 중장기 미래를 내다보고
주택을 매매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즐거운 하루 되시고 오늘도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부동산 투자 > 최신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고랜드 개장과 이슈 (중도개발공사와 강원도) (0) | 2022.10.23 |
---|---|
지방 광역시·도 조정대상지역 전면 해제(2022.09.21 발표) (2) | 2022.09.25 |
국민 주거안정 실현방안 (윤석열 정부 부동산 정책 08.16 발표) (0) | 2022.08.19 |
둔촌주공 재건축 이슈 요약(둔촌 올림픽파크 포레온) (0) | 2022.08.03 |
윤석열 정부 부동산 정책 (0) | 2022.06.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