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하우스를 가면 분양면적, 전용면적, 공용면적 등 상당히 많은 면적 관련 용어가 사용됩니다.
용어들의 의미를 이해해야 내가 원하는 거주공간을 고를 수 있으므로 오늘은 각각의 용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공급면적과 계약면적이라는 용어가 존재합니다.
공급면적 = 전용면적 + 주거공용면적
계약면적 = 전용면적 + 주거공용면적 + 기타공용면적
위와 같이 공급면적과 계약면적이 정의됩니다.
아파트는 공급면적이 분양면적이 되고, 오피스텔은 계약면적이 분양면적이 됩니다.
오피스텔의 경우 계약면적이 분양면적이 되므로 기타공유면적이 추가되어 개인 소유 공간은 같은 분양면적의 아파트 대비 작을 수밖에 없게 됩니다.
다음으로는 그럼 전용면적은 무엇이고, 주거공용면적, 기타공용면적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전용면적 = 각각의 세대가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부분의 총합 면적 (거실, 방, 주방 , 화장실 등이 모두 더해진 면적)
공용면적은 크게 주거공용면적과 기타공용면적으로 나뉩니다.
공용면적 = 주거공용면적 + 기타공용면적
1) 주거공용면적 = 계단, 복도, 엘리베이터 등 여러 세대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건물 내부에서의 공용공간
2) 기타공용면적 = 커뮤니티 시설, 지하주차장, 관리사무소 등 건물 외부의 공용공간
+ 서비스면적 = 발코니가 존재하는 공간으로 확장하여 실내부처럼 사용할 수 있는 공간
흔히들 실거주 공간(개인의 공간)을 보시는데 '주거전용면적 + 서비스면적'이 실거주 공간입니다.
면적 관련하여 아파트와 오피스텔의 차이는 크게 두 가지가 존재합니다.
1) 서비스면적의 유/무
우리가 59 타입, 84 타입 이야기할 때는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이야기합니다.
똑같은 59 타입의 아파트와 오피스텔이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아파트는 여기에 서비스면적이 더해진 면적만큼 실거주면적이 되고
오피스텔은 전용면적 그대로 실거주면적이 됩니다.
1차적으로 서비스면적의 유무로 인하여 아파트가 오피스텔보다 실거주 면적이 크게 됩니다.
2) 분양면적의 차이 (아파트의 분양면적 = 공급면적, 오피스텔의 분양면적 = 계약면적)
아파트의 경우 분양면적을 공급면적(=전용면적 + 주거공유면적)으로 산정하고
오피스텔의 경우 분양면적을 계약면적(=전용면적 + 주거공유면적 + 기타공유면적)으로 산정합니다.
결과적으로 기타공유면적까지 분양면적에 포함된 오피스텔에서 같은 면적일 경우 아파트보다 사이즈가 적게 됩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똑같은 59 타입의 아파트와 오피스텔의 경우 실거주 공간이 크게 차이 나는 것을 모델하우스에 방문해보시면 느끼실 수 있을 것입니다. 개념적으로 이해를 하신 후 모델하우스에 방문하여 직접 살펴보시면 더욱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도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https://gusdhsquf.tistory.com/69
비슷한 듯 다른 도시형 생활주택과 오피스텔 (차이점, 유의점)
1.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은 소형 평형 위주로 구성된 300가구 미만의 공동주택을 말합니다. 주거공급의 일환으로 아파트를 짓기는 어려운 도심 역세권의 소규모 공간에 공급되는 주
gusdhsquf.tistory.com
https://gusdhsquf.tistory.com/68
부동산 세금 (취득세/보유세/양도소득세)
부동산 세금에는 크게 취득세 / 보유세 / 양도소득세 가 존재합니다. 시간 순서에 따라 정리를 하자면 건물을 살 때 : 취득세 건물을 가지고 있을 때 : 보유세 건물을 팔 때 : 양도소득세 1.취득세
gusdhsquf.tistory.com
https://gusdhsquf.tistory.com/63
윤석열 정부 부동산 정책
매번 대통령 후보자의 부동산 공약은 주목받지만 부동산이 아주 시끌시끌 했던 2020~2021년의 영향으로 더욱 관심있게 지켜보는 상황인 것 같습니다. 위에서는 크게 공급, 전월세대책, 세제, 금융,
gusdhsquf.tistory.com
https://gusdhsquf.tistory.com/65
건설사별 아파트 브랜드
국내 주택시장은 입지만큼이나 브랜드를 중요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는 주택이 단순히 주거의 용도가 아닌 투자의 용도까지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주택 = 주거 목적 +
gusdhsquf.tistory.com
'부동산 투자 > 관련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적률 ? 건폐율 ? (0) | 2022.07.10 |
---|---|
주상복합 아파트란 ?? (0) | 2022.07.08 |
비슷한 듯 다른 도시형 생활주택과 오피스텔 (차이점, 유의점) (0) | 2022.06.28 |
건설사별 아파트 브랜드 (0) | 2022.06.20 |
부동산과 금리 (인상/인하) (0) | 2022.06.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