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투자/관련 개념

용적률 ? 건폐율 ?

by 온스타 2022. 7. 10.
반응형

 

 

건물의 정보를 살펴보시다 보면 용적률과 건폐율을 자주 마주하셨을 겁니다.

 

오늘은 용적률건폐율을 어떻게 구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용적률

 

'연면적 대비 건축물 연면적 비율'로 건물을 짓도록 허가된 대지면적에 비해 건물을 얼마나 높게 지울 수 있는가를 뜻합니다.

 

용적률 = (연면적 / 대지면적 ) x 100 (%)

 

용적률은 건축물의 수직 밀도를 제한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값입니다.

 

 

 

위 사례의 경우 총연면적이 250m^2, 대지면적100m^2 이므로

 

용적률 = (250/100) x 100(%) = 250 % 입니다.

 

연면적이 증가하면 용적률이 상승하는데, 연면적이 상승한다는 것은 층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으로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해운대 마린시티 아이파크

지난번 포스팅에서 다뤘던 해운대 마린시티 아이파크의 경우 최고층은 72층이며 용적률이 899%입니다.

 

'층이 높아진다 -> 용적률이 증가한다.' 이해하시면 쉬울 것 같습니다.

 

지역별, 용도별 용적률 제한으로 인하여 보통 아파트보다 상업시설이 완화된 용적률 제한을 받기 때문에

 

오피스 건물은 보통 높게 높게 건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건물을 짓는 입장에서는 같은 넓이의 땅에 높게 지을수록 더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으니까요.

 

참고로 용적률을 계산할 때 활용되는 연면적(=용적률 산적용 연면적)에서는

 

1) 지상층 중 주차시설의 면적

2) 지하층의 면적

3) 주민 공동 시설의 면적

4) 초고층 건축물의 피난안전 구역의 면적

 

등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평소 말하는 연면적과 용적률 산정용 연면적은 약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반응형

2. 건폐율

 

건폐율 = (건축면적/대지면적) x 100(%)

 

건폐율을 건축물의 수평 밀도를 제한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건폐율이 낮다면 그만큼 대지면적 대비 건축면적이 작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부지의 여유 공간이 많은 것을 의미합니다.

 

위의 사례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건폐율 = (70/100) x 100(%) = 70%

 

위의 이미지는 건폐율이 높고 낮은 극단적인 사례입니다. 건폐율이 낮은 것이 일반적으로 건물 사이 여유거리도 확보되고 부지도 확보되어 쾌적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오늘 말씀드린 용적률/건폐율의 개념을 이해하시고 건축물의 정보를 보실 때 참고하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 듯합니다.

 

오늘도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을만한 글을 추천해드리겠습니다.

 

https://gusdhsquf.tistory.com/70

 

전용면적/공용면적/분양면적/서비스면적 정리

모델하우스를 가면 분양면적, 전용면적, 공용면적 등 상당히 많은 면적 관련 용어가 사용됩니다. 용어들의 의미를 이해해야 내가 원하는 거주공간을 고를 수 있으므로 오늘은 각각의 용어에 대

gusdhsquf.tistory.com

 

https://gusdhsquf.tistory.com/69

 

비슷한 듯 다른 도시형 생활주택과 오피스텔 (차이점, 유의점)

1.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은 소형 평형 위주로 구성된 300가구 미만의 공동주택을 말합니다. 주거공급의 일환으로 아파트를 짓기는 어려운 도심 역세권의 소규모 공간에 공급되는 주

gusdhsquf.tistory.com

 

https://gusdhsquf.tistory.com/71

 

주상복합 아파트란 ??

주거공간과 상업공간이 합쳐진 '주상복합' 아파트와 가장 큰 특징은 아파트는 주택법을 적용받고 주상복합은 오피스텔처럼 건축법을 적용받는다는 것입니다. 아래의 포스팅에서 도시형 생활주

gusdhsquf.tistory.com

 

https://gusdhsquf.tistory.com/64

 

부동산과 금리 (인상/인하)

오늘은 부동산과 금리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부동산을 구매할 때는 모두 현금으로 구매하는 것이 아닌 대출을 끼게 됩니다. 금리가 상승한다는 것은 그만큼 대

gusdhsquf.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