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투자/관련 개념

지역주택조합이란 ??

by 온스타 2022. 7. 17.
반응형

 

오늘은 지역주택조합이라는 개념을 알아보겠습니다 !

 

지역주택조합이란 ?

 

  • 동일지역범위()에 거주하는 주민이 주택을 건설하기 위하여 조합을 설립한 후 사업의 주체가 되어 토지를 매입하고 조합원들은 싼 값에 아파트를 분양받을 수 있는 방식

 

1. 가입조건

 

 

  • 무주택이거나 주거전용면적 85제곱미터 이하 1채 소유자인 자
  • 동일지역범위(시・도)에 거주하는 주민인 자

 

2. 지역 주택조합 과정

 

위와 같은 순서로 과정이 진행됩니다.

 

순서만 보았을 때 드는 의문이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정비사업(재건축 재개발)과 무슨 차이가 있는 거지?

 

아래에서 정비사업(재건축 재개발)과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3. 정비사업(재건축 재개발)과 주택조합사업의 차이점

 

'주택재건축조합과 주택재개발조합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에」 따라 추진하는 사업으로 노후 불량건축물이 ・ 밀집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주 택소유자들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정비사업이 주 목적이므로 무주 택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을 위한 지역주택조합과는 다름'

 

공식적인 국토부 자료에서는 위와 같이 차이점을 제시하고 있으나 일반인 측면에서 가장 큰 차이점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정비사업(재건축 재개발)은 이미 토지지분을 갖고 있는 해당 지역 거주자들의 의견을 모아서 토지지분을 모아서 사업을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므로 토지구매에 추가적인 금액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이미 토지소유자들의 모임이니까요.

 

하지만 지역주택조합토지지분을 보유하지 않은 인원들의 모임입니다. 조합원이 낸 투자금을 통해서 임의의 토지 A를 매수하면서 정리해서 새로운 사업지를 만들어 나아가 야한 사업구조입니다.

 

 

위와 같은 순서로 자금의 흐름이 수행됩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지역주택조합의 단점이 나타납니다. 

 

부지의 소유권자가 아니므로 새로운 부지를 매수하여야 하는데, 아파트를 지을만한 크기의 부지의 주인은 한 명이면 정말 좋겠지만, 다수인 경우가 대부분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30명의 토지주를 설득해야 한다면, 20명의 토지주는 설득하여 토지를 확보하였지만, 나머지 열 명의 토지주가 설득이 안된다면 사업이 진행될 수 없습니다. 이 부분에서 재건축 재개발과 가장 큰 차이점이자 단점이 나타나게 됩니다.

 

아예 토지가 없는 상태에서 주택을 짓겠다는 계획 자체가 사업을 먼저 따고 물건을 만들겠다는 거니, 잘되면 좋지만 사업의 성공이 어렵겠구나 예상하실 수 있을 겁니다. 이 부분은 특히 유의하시고 지역주택조합은 그만큼 성공률이 낮은 사업이라는 것을 알고 있으셔야 할 것 같습니다.

 


 

4. 장단점

 

위에서 지역주택조합의 가장 큰 단점을 언급하였고,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는 나머지 장단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장점

 

  • 주택청약통장이 필요 없음
  • 청약 경쟁 순위에 관계없음
  • 기존 일반 분양에서 시행사가 가져가는 이윤이 없으므로 저렴한 분양가에 주택을 매수할 수 있음
  • 대부분 상업용지나 단독 주택이나 저층 건물이 있는 주거지를 매입해서 아파트를 짓기 때문에 지하철역이 매우 가깝거나 대로와 가까워 생활이 매우 편리한 곳이 많다. (주로 도심에서 추진됨)

 

2) 단점

 

  • 주택조합 가입요건 구비 (지역, 거주기간)
  • 사업지체 시 추가 부담금 발생
  • 조합원 간 갈등 상존
  • 사업주체인 조합의 구성원으로서 조합규 약에 따라 책임과 의무 부담

 

오늘은 지역주택조합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많은 위험이 뒤따르는 사업방식으로 충분히 고려해보시고 관심을 갖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같이 읽어보면 좋을만한 글

 

https://gusdhsquf.tistory.com/70

 

전용면적/공용면적/분양면적/서비스면적 정리

모델하우스를 가면 분양면적, 전용면적, 공용면적 등 상당히 많은 면적 관련 용어가 사용됩니다. 용어들의 의미를 이해해야 내가 원하는 거주공간을 고를 수 있으므로 오늘은 각각의 용어에 대

gusdhsquf.tistory.com

https://gusdhsquf.tistory.com/69

 

비슷한 듯 다른 도시형 생활주택과 오피스텔 (차이점, 유의점)

1.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은 소형 평형 위주로 구성된 300가구 미만의 공동주택을 말합니다. 주거공급의 일환으로 아파트를 짓기는 어려운 도심 역세권의 소규모 공간에 공급되는 주

gusdhsquf.tistory.com

https://gusdhsquf.tistory.com/72

 

용적률 ? 건폐율 ?

건물의 정보를 살펴보시다 보면 용적률과 건폐율을 자주 마주하셨을 겁니다. 오늘은 용적률과 건폐율을 어떻게 구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용적률 '연면적 대비 건축물 연면적 비율'로

gusdhsquf.tistory.com

https://gusdhsquf.tistory.com/65

 

건설사별 아파트 브랜드

국내 주택시장은 입지만큼이나 브랜드를 중요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는 주택이 단순히 주거의 용도가 아닌 투자의 용도까지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주택 = 주거 목적 +

gusdhsquf.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