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투자/관련 개념

공유오피스 기업의 양대산맥(패스트파이브, 위워크)

by 온스타 2023. 1. 15.
반응형

 

 

재택근무 등 다양한 업무형태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직원이 해당한 그룹사의 지정 오피스로 출근해도 되는 기업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이 확산되는 가운데 '공유오피스'라는 개념이 등장했습니다.

 

기존에는 기업이 하나의 층이나 일부 공간을 직접 건물 소유자와 임대를 통해 사무공간으로 활용하였었습니다.

 

공유오피스는 공유오피스 기업이 소유자와 계약을 맺고 오피스 공간을 필요로 하는 기업에게 재계약을 하는 방식입니다.

 

공간을 잘 기획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건물주에게 내가 주는 임대료' < '내가 기업에게 받는 임대료'

 

 

를 만드는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요약을 보면 이해가 쉬울 듯합니다.

 

 

더 나은 공간으로 재구성하여 내가 빌린 임대료보다 높은 임대료를 받는 것이 공유오피스 기업들의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공유오피스 기업

 

공유오피스 기업은 글로벌기업인 위워크와 국내기업인 패스트파이브가 존재합니다.

 

1) 위워크

 

위워크는 미국에 상장된 글로벌기업입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위워크 홈페이지에서 전 세계 각지에 위치한 위워크 지점들을 표시해 둔 이미지입니다.

현재기준 한국에는 서울에 17곳, 부산에 2곳의 사업지가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아래 사진은 랜덤으로 서울에 있는 2곳의 오피스의 실내 사진을 가져와보았습니다.

 

기존의 전통적인 오피스 공간보다는 대형 카페 실내와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밀집도 측면에서 기존의 오피스보다 조금 여유롭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사용자 측면에서는 좋은 부분이지만, 사업을 하는 기업입장에서는 공간활용도가 떨어진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패스트파이브

 

패스트파이브는 국내기업입니다.

 

위워크와 가장 큰 차이점은 오로지 국내에 한정된 기업이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국내기업이 서비스를 제공해서인지 국내 공유오피스 시장 1위 실적을 갖고 있습니다.

 

위워크서울+부산 총 19개 지점이 운영 중인 반면,

 

패스트파이브41개 지점이 운영 중으로 지점수로 따지면 약 2배 차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이지만 오로지 서울에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습입니다.

 

내부는 위워크와 큰 차별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상상하던 공유오피스 모습 그대로입니다.

 

알록달록한 스터디카페나 신설된 대학교 도서관 느낌입니다.

홈페이지에 아래와 같은 광고 문구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1인당 이용 면적이 3.3평에서 45.8평이 되어 14배의 공간활용이 가능하다.

 

홍보성 문구로 이해는 하지만 저는 크게 공감을 하긴 어려운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의견

 

장점으로는 공유오피스 기업에서 사무공간을 꾸며두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다양한 인원수의 기업에게 서비스를 할 수 있다는 점이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오히려 기업의 입맛대로 공간을 활용할 수 없다는 이야기도 됩니다.

 

프로젝트 파견으로 인한 단기적인 임대에는 좋은 선택지가 될 것 같습니다만,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1년 이상의 계약 시 과연 어떤 장점이 있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공간을 잘 꾸며두었기에 건물소유주에게 지불하는 임대료보다 높은 임대료를 받아야 하는 입장이므로

 

이용 가격이 저렴할 수도 없는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두 기업모두 매출을 증가시켜 양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기업의 본질적인 목적인 순이윤창출을 앞으로 어떻게 해 나아갈 것인가 의문이 듭니다.

 

 

쿠팡 같은 기업은 적자를 내면서 성장하지만,

 

시장의 점유율을 높이고 멤버십을 통해 흑자전환을 할 계획이라고 하지만

 

 

공유오피스 비즈니스의 경우 양적으로 성장해도 가격을 올리면

 

경쟁사로 옮겨도 아무런 제약이 뒤따르지 않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그래도 기회가 생긴다면 실제 사용자로서 오피스를 이용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비즈니스가 추진되는 것은 긍정적인 변화라고 생각됩니다.

 

 

 

 

오늘은 공유오피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글을 작성하고 나니 부동산보다 기업에 초점을 맞춘 것 같네요.

 

 

 

 

오늘도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을 만한 글

https://gusdhsquf.tistory.com/103

 

섹션오피스와 지식산업센터 (차이점 및 특징)

기존의 오피스 공간을 넘어서 다양한 업무용 시설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습니다. 지식산업센터는 공장형 오피스로 주목을 받아왔고, 몇 년 사이 섹션오피스가 추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오늘은

gusdhsquf.tistory.com

https://gusdhsquf.tistory.com/99

 

코리빙하우스(co-living house)

근래 들어 '코리빙하우스'라는 주거시설이 눈에 들어옵니다. 코리빙은 'Cooperative + Living'의 합성어로 'Co-living'으로 줄인 것을 우리말로 그대로 읽은 것입니다. 독립된 개인공간과 다른 거주인과

gusdhsquf.tistory.com

https://gusdhsquf.tistory.com/86

 

부동산과 주식 수익률 비교 (부동산이 답이다?)

주식시장과 부동산 시장 모두 훨훨 날아오르던 2021년 1월쯤 '부동산이 답'이라는 친구의 이야기를 듣고 주식과 부동산이 과거에는 어땠는지 확인해본 적이 있었습니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주

gusdhsquf.tistory.com

https://gusdhsquf.tistory.com/81

 

CBD / YBD / GBD 서울 3대 오피스권역

부동산 관련 기사를 보다보시면 간혹 CBD / YBD / GBD 등이 언급됩니다. 위의 3개 지역은 서울의 주요 오피스 권역입니다. CBD / YBD / GBD 가 무슨 말인지 가볍게 알아보며 최근 몇 년 사이 언급되기 시

gusdhsquf.tistory.com

 

반응형

댓글